국민연금 감액제도 개편안 기준에 대하여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 1. 기존 국민연금 감액 제도의 문제점
- 2. 내년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 감액 기준 (최신 개편안)
- 3. 나의 소득은 감액 대상인가요? (2025년 기준)
- 4. 소득별 감액 비율과 최대 감액 한도 (2025년 기준)
- 5. 감액 기간과 예외 사항
- 6. 국민연금 감액을 피하는 실용적인 방법

1. 기존 국민연금 감액 제도의 문제점
현재 국민연금 제도는 노령연금 수급자가 소득이 발생하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순간부터 연금액이 감액됩니다.
- 감액 기준: 최근 3년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A값) 초과
- 2025년 기준 A값은 월 3,089,062원입니다.
이 금액을 초과해 소득을 얻으면 최대 50%까지 국민연금이 감액되어, 열심히 일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불합리한 구조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2. 내년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 감액 기준 (최신 개편안)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연금 감액 제도의 가장 낮은 두 구간을 폐지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령자의 계속적인 경제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년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 1구간: 초과 소득월액 100만 원 미만
- 2구간: 초과 소득월액 100만~200만 원 미만
따라서 앞으로는 **월 소득이 509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국민연금 감액이 사라집니다.
월 소득이 509만 원 이하인 소득자는 국민연금을 그대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제 '일하면 손해'라는 인식 대신, '일해도 연금은 안전하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3. 나의 소득은 감액 대상인가요? (2025년 기준)
국민연금 감액은 모든 소득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액 대상이 되는 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산한 월평균 소득입니다. 이 월평균 소득이 당해 연도의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월평균소득액(A값)을 초과할 경우 감액이 시작됩니다.
2025년 현재 A값은 월 3,089,062원입니다.
4. 소득별 감액 비율과 최대 감액 한도 (2025년 기준)
감액 비율은 초과하는 소득 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감액되는 비율도 커집니다.
- 100만 원 미만 초과: 초과 소득의 5% 감액
- 100만~200만 원 초과: 10% 감액
- 200만~300만 원 초과: 15% 감액
- 300만~400만 원 초과: 20% 감액
- 400만 원 초과: 초과 소득의 25% 감액
최대 감액 한도는 노령연금액의 1/2입니다. 연금액의 절반 이상은 깎이지 않습니다.
5. 감액 기간과 예외 사항
감액은 노령연금 수급 개시 후 **5년 동안만 적용**됩니다. 5년이 지나면 소득이 있어도 더 이상 연금액이 감액되지 않습니다.
만약 감액 기간 중 소득 활동을 중단하게 되면, 국민연금공단에 소득 종료 사실을 신고하여 감액 해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6. 국민연금 감액을 피하는 실용적인 방법
소득 활동으로 인해 연금액이 깎이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다음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 연금 연기
노령연금 수급 개시 시점을 1년 늦출 때마다 연금액이 7.2% 증가합니다. 최대 5년까지 연기하면 연금액이 무려 36% 늘어납니다. 소득 활동으로 인해 연금이 감액될 것으로 예상되면, 연금 수급 시기를 늦춰 감액을 피하고 더 많은 연금액을 받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소득 신고 의무 준수
소득 활동을 시작했거나 종료했을 때는 국민연금공단에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소득 변동을 제때 신고하면 정확한 감액 금액이 적용되고, 소득 활동 종료 시 불필요한 감액을 피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