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급여 산정 기준 금액

by 황금부자 2025. 8.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매년 발표되는 '기준 중위소득', 혹시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셨나요? 최저임금처럼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정보이지만, 막상 찾아보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2026년도에 새롭게 달라지는 기준 중위소득과 주요 복지 혜택을 이해하기 쉽게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의미와 인상 폭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간값입니다. 이 금액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80개가 넘는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증가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의 74.4%를 차지하는 1인 가구는 높은 인상률이 적용되어 더욱 눈길을 끕니다.

가구원 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
1인 2,392,013원 2,564,238원 7.20%
2인 3,932,658원 4,199,292원 6.78%
3인 5,025,353원 5,359,036원 6.64%
4인 6,097,773원 6,494,738원 6.51%
5인 7,108,192원 7,556,719원 6.31%
6인 8,064,805원 8,555,952원 6.09%

2. 2026년도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급여별 수급 대상을 선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내년도 급여별 선정 기준은 올해와 동일하게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32%,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 이하로 결정되었습니다.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 보장

2026년도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1인 가구 기준 820,556원, 4인 가구 기준 2,078,316원으로 인상됩니다. 실제 지원되는 금액은 선정 기준액에서 해당 가구의 소득 인정액을 뺀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월 소득이 없는 4인 가구는 매월 2,078,316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생계급여 (중위 32%) 820,556원 1,343,773원 1,714,892원 2,078,316원 2,418,150원 2,737,905원
의료급여 (중위 40%) 1,025,695원 1,679,717원 2,143,614원 2,597,895원 3,022,688원 3,422,381원
주거급여 (중위 48%) 1,230,834원 2,015,660원 2,572,337원 3,117,474원 3,627,225원 4,106,857원
교육급여 (중위 50%) 1,282,119원 2,099,646원 2,679,518원 3,247,369원 3,778,360원 4,277,976원

3. 내년부터 달라지는 복지 제도 3가지

복지 혜택의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제도가 개선됩니다.

1. 청년층 근로·사업소득 공제 대상 확대

기존 29세 이하 청년에게 적용되던 근로·사업소득 공제 대상이 **34세 이하**로 확대됩니다. 추가 공제금도 '40만 원 + 30%'에서 '**60만 원 + 30%**'로 인상되어, 청년들의 자립을 돕습니다.

2.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변경 사항

  • 의료급여: 365회를 초과하는 외래진료에 대해서는 본인 부담률 30%를 적용합니다. 단, 중증 장애인이나 임산부 등은 예외입니다.
  • 주거급여: 임차 가구의 기준 임대료가 가구원 수와 지역에 따라 **17,000원 ~ 39,000원** 인상됩니다.
  •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가 평균 6% 인상됩니다. 초등학교는 50만 2천원, 중학교는 69만 9천원, 고등학교는 86만원으로 연 1회 지급됩니다.

3. 다자녀 가구 및 생계형 차량 재산 기준 완화

복지 수급 대상자를 확대하기 위해 자동차 재산 기준이 완화됩니다. 다자녀 가구의 기준이 자녀 3명에서 **2명**으로 완화되어 일반재산 환산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생계형으로 사용하는 소형·화물차의 기준도 확대됩니다.

4. 복지 혜택, 나도 받을 수 있을까?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외에도 국가장학금, 청년 도약 계좌, 에너지 바우처 등 다양한 정부와 지자체의 복지 사업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여러분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에 가깝다면, 본인에게 맞는 복지 혜택이 있는지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 홈페이지**나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해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소비쿠폰 2차 지급 일정 및 조건 총정리

2025년 정부의 민생회복 정책 중 하나인 소비쿠폰의 2차 지급이 곧 시작됩니다. 누구나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도록, 2차 지급 일정, 대상자 조건, 신청 절차, 준비 팁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2

jadedoyh2.com

 

 

2025 조용필 KBS 콘서트: 티켓 신청, 예매 및 이벤트 참여 방법

가왕 조용필의 28년 만의 KBS 단독 콘서트, 가 2025년 9월 6일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립니다.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공연은 무료로 진행되어 많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티켓을 얻

jadedoyh2.com

 

 

2025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방법·취소표 공략법 총정리 (KTX·SRT 꿀팁 포함)

올해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은 대략 8월19일~22일로 예상됩니다. 귀성·귀경길 기차표 예매 경쟁이 치열하니, 예매 일정·방법은 물론 취소표 공략법까지 미리 알아두세요. 📅 1. 2025 추석 기차표

jadedoyh2.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