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울시가 질병 및 부상으로 입원하는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생계 지원을 위해 유급병가 개념의 입원생활비를 제공합니다. 2025년 서울시 생활임금을 기준으로 **1일 94,230원**을 지급하며, **연 최대 14일**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지역가입자 중 근로/사업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정보입니다.
서울형 입원 생활비 신청하기💸 2025년 지원 규모 및 14일의 구성
- **1일 지원금액:** **94,230원** (2025년 서울시 생활임금 기준)
 - **최대 지원일:** **연 최대 14일** (입원+외래진료+공단 일반건강검진 기간 합산)
 - **지원 항목:** 입원·입원연계 외래진료·공단 일반건강검진 기간의 생활임금
 
1. 가장 중요한 신청 대상: 지역가입자 및 소득/재산 기준
지원 대상은 서울시 거주자이면서, 근로 또는 사업 활동을 유지하는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여야 합니다. 필수 자격 요건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1.1. 필수 충족 3가지 조건
- **조건 1. 보험:**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 **조건 2. 근로/사업 기간:** 근로자 **24일 이상**, 개인사업자 **45일 이상** 활동 유지
 - **조건 3. 거주지:**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시민
 
🚫 소득/재산 기준과 중복 수혜 제외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기준:** **3억 5천만 원 이하**
 - **중복 제외:** 해당 월에 **생계급여, 실업급여, 산재보험** 수급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소득 기준 외에 재산 기준도 동시에 심사되므로, 지원 전 반드시 확인하여 불필요한 신청을 피하세요.
1.2. 명확한 지원 제외 대상
- **입원 목적 제외:** 미용, 성형, 출산, 요양 목적 입원
 - **기관 제외:** 요양병원, 조산원 입원
 - **신분 제외:** 외국 국적자, 법인 사업자, 임대 사업자
 
2. 신청 기간 및 방법 (퇴원 후 180일 기한)
지원금은 퇴원일 또는 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기한을 놓치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2.1. 신청 기한 엄수
- **기한:** 퇴원일 (입원·외래) 또는 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
 
2.2. 간편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이 가장 빠르고 편리합니다.
- **온라인 (추천):** **sickleave.seoul.go.kr**에서 직접 신청
 - **방문 신청:** 주민등록상 거주지 관할 **보건소** 또는 **동주민센터**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은 갑작스러운 질병에 대비하는 필수 혜택입니다.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라면 **9만원대 지원**과 **14일의 유급병가**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지금 바로 신청 자격을 확인하세요.
반응형